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항상 빠지지 않는 것, 바로 4.19 혁명입니다. 이번에는 4.19 혁명의 전개에 대해 알아볼겠습니다.

 


 

2.28 대구 민주운동

 

  • 3.15 대선을 앞둔 일요일인 2월 28일 당 부통령 후보 장면의 대규모 유세 예정
  • 1960년 당시 대구는 '조선의 모스크바'라고 불리울 정도로 좌익 성향이 강한 지역
  • 유세장에 대구 지역 학생들이 몰리는 것을 막기위해 자유당 정부가 일요 등교를 강행
  • 이에 반발한 대구 지역 학생들이 2월 27일과 28일 시위 진행, 언론에 보도되며 전국으로 학생들의 시위가 퍼져나감

 

 

3.15 부정선거

 

  • 지난 대선에서 야당 후보들이 선전함에 따라 자유당은 대선 전부터 내무부 장관인 최인규의 지휘하에 부정선거를 계획
  • 투표함의 4할 정도를 자유당 후보인 이승만과 이기붕으로 미리 채워놓고 선거를 치루고 투표함을 바꿔치기도 하는 등 온갖 수법들로 자유당이 승리

 

 

3.15 제1차 마산의거

 

  • 3.15선거 당일 마산에서 투표가 시작되기도 전, 투표용지가 채워져있던 투표함이 발견됨
  • 이에 선거 무효를 주장하며 시위 발생
  • 시위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향해 발포, 총 9명이 사망

 

 

4.11 제2차 마산의거

 

  • 3.15 제1차 마산의거에서 마산상고 신입생 김주열군이 행방불명 됨
  • 4.11 김주열군의 시신이 왼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채로 마산중앙 부두 앞바다에 떠오름
  • 마산 시민들의 분노로 2차 시위 발발. 경찰의 발포로 인해 시민 한 명이 사망

 

 

4.18 고려대학교 학생 시위

 

  • 시위는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고 고려대 총학생회에서는 4월 18일 시위 결행
  • 집회를 해산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비호 아래 정치깡패들이 학생들을 습격

 

 

4.19 피의 화요일

 

  • 4.18 고려대학교 학생 시위의 소식을 들은 고등학생, 대학생들이 19일 시위에 동참
  • 시위대를 향한 경찰의 발포로 서울, 부산, 광주에서 사망자 발생
  • 정부의 계엄령 선포
  • 4월 19일 하루 전국에서 100명이 넘는 사망자 발생

 

 

4.25 대학 교수단 시위

 

  • 이승만 대통령이 자유당 총재직을 사퇴하겠다고 발표
  • 서울대 대학 교수단을 시작으로 재선거와 함께 하야를 요구하며 수만 명의 시위 군중이 형성됨

 

 

4.26 대통령의 하야

 

  • 이승만 대통령, 하야 서명
  • 재선거와 이기붕의 사퇴 등을 발표
  • 4월 27일 이승만이 국회에 사임서 제출, 사임서가 수리되며 허정 외무부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고 이후 6월 15일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출범

 

 

기타

 

  • 1960년 2월 28일 대구 민주운동부터가 아닌 3월 15일을 4.19 혁명의 시작으로 보는 의견도 존재함
  • 아이러니하게도 반공주의를 위한 이승만의 적극적 민주주의 교육 정책 때문에 대한민국 국민들의 민주주의 의식이 높아져 독재에 대한 반발심이 강해진 것에 대한 결과라는 분석도 있음
  • 최근 몇 년 동안 4.11 제2차 마산의거의 명칭을 두고 3.15의거기념사업회와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는 '제2차 3.15의거'냐 '4.11민주항쟁'이냐를 두고 논란